본문 바로가기
Web

IP 주소란?

by 밍상 2022. 7. 28.

IP는 컴퓨터가 연결된 네트워크 끝단의 주소다.

기기나 인터넷에 접속한 곳에 네트워크상 위치다.

 

IPv4 - 172.28.39.53

0~255까지 숫자가 4개가 이어진 형식 -> max 46억개

 

공유기를 사용하는 학교나 회사 사무실 등에서는 한 공인 IP아래 기기마다 사설 IP가 부여되는 식으로 인터넷을 사용한다.

10.0.0.0 ~ 10.255.255.255

172.16.0.0 ~ 172.31.255.255

192.168.0.0 ~ 192.168.255.255 

이 안에 들어가면 사설 IP라고 보면 된다.

 

외부에선 private IP로 접근 불가능 -> 서버는 공인 IP가 필요

 

포트 포워딩

공유기 설정으로 공인 IP에 포트를 개방해서 내부의 사설 IP마다 하나씩 연결 가능

 

DMZ

공인 IP의 모든 포트들을 내부의 특정 사설 IP에 몰아주는 것

모든 포트를 개방하기때문에 보안상 문제가 있어 권장하지 않음

 

한국엔 1억개정도의 IP가 할당돼있고 ISP에서 부여.

바뀌지않는 고정 IP는 비쌈

일반 가정이나 기기들에는, 주기적으로 IP를 회수해서 인터넷을 사용하는 곳에만 나눠주는 유동 IP방식을 쓴다.

 

유동IP는 해킹으로부터 안전, 가격이 조금 쌈

 

DDNS(Dynamic DNS)

수시로 바뀌는 유동 IP를 감지해서 고정된 도메인에 연결시켜주는 것이다.

 

IPv6

16진수 4자리 * 8 -> 2의 128승. 3.4 * 10^38 개 IP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RS란?  (0) 2022.07.26
MicroService란?  (0) 2022.05.26
HTTP 2.0  (0) 2021.11.19
쿠키와 세션  (0) 2021.11.19
Rest API  (0) 2021.08.02